서울지하철 유실물 연간 11만건, 면접복장부터 영정사진까지 68% 주인 품
서울지하철 유실물 연간 11만건, 면접복장부터 영정사진까지 68% 주인 품
  • 이아름 기자
  • 승인 2020.12.14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년 간 접수 유실물 11만3,106건 중 76,903건 인계

서울교통공사가 지난 1년(‘19.11.1~‘20.10.31) 간 서울 지하철에서 습득한 유실물은 총 11만3,106건으로, 하루 평균 약 310건의 유실물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승객들이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 1위는 지갑(23,933건, 21%)이었다. 가방(20,438건, 18%)과 휴대전화(18,670건, 17%)가 뒤를 이었다.

유실물 10개 중 약 7개는 주인 품으로 무사히 돌아갔다. 서울지하철은 일평균 750만 명이 이용하는 만큼, 유실물의 종류도 잃어버린 승객의 사연도 다양했다. 면접 때 입으려고 준비했던 옷부터 결혼식 방명록, 보자기에 곱게 싸인 영정사진까지 역 직원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주인에게 인계될 수 있었다.

필요 없는 물건을 일부러 버리고 가거나 자신의 물건이 아닌데도 가져가려고 하는 일부 승객들로 인해 난감한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2019년부터 유실물 수령 시 신원확인을 거쳐 중복수령을 막도록 시스템이 개선된 바 있다.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서울교통공사는 분실 위치와 시간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역사 직원은 유실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를 탐색해 물건을 찾을 수 있다. 열차 내 유실물은 열차에서 내린 시각, 내린 문 위치, 열차 내 물건 위치 등이 중요한 정보다. 위치를 특정하지 못한 채 지하철 내에서 물건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 역사 내 유실물은 잃어버린 시간, 장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열차와 승강장 사이 틈으로 물건이 빠진 경우, 영업시간 내에는 안전상 승강장안전문을 열어 선로에 진입할 수 없기에 영업이 종료된 심야시간대에만 찾을 수 있다.

만약 물건을 못 찾았다면 경찰청 통합 유실물 관리 웹사이트 ‘lost112’(http://lost112.kr)나 모바일 앱(lost112)에서 검색해보면 된다. 역사 직원은 지하철 내에서 습득한 모든 유실물 정보(물건 사진, 습득 장소 등)를 웹사이트에 기재, 등록하기 때문에 물건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유실물은 지하철 역→유실물센터→경찰 순으로 보관, 처리된다. 유실물센터에서 찾아가지 않은 물건들은 경찰서로 이관되거나 경찰 승인 하에 사회복지단체에 무상으로 제공된다.

우선, 유실물은 발견된 지하철역에서 일정기간(약 일주일 이내) 보관된다. 그 후 유실물센터로 인계돼 최대 6개월 간 보관된다. 서울교통공사는 유실물법과 그 시행령, 공사 유실물 처리규정에 의거해 유실물을 처리한다. 유실물센터는 총 4곳으로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에 운영한다.

유실물센터가 위치한 역사(시청, 충무로, 왕십리, 태릉입구) 4곳에선 물품보관함(T-Locker)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지하철이 다니는 시간이면 언제든지 직접 유실물을 찾아갈 수 있다.

김성은 서울교통공사 영업계획처장은 “공사 직원들은 어떻게든 찾아주려는 마음에 하루 종일 주인을 수소문하지만 결국 찾지 못했을 때 가장 마음 아파한다.”며 “잃어버리기 쉬운 지갑, 가방 등에 연락처가 적힌 명함을 넣어두면 분실했더라도 주인을 100% 찾아 돌려줄 수 있다.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역직원에게 바로 신고해 분실 위치, 시간을 알려주고, 유실물 관리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유실물을 검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