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 경선과 전략공천의 차이
후보자 경선과 전략공천의 차이
  • 서울타임스
  • 승인 2012.03.17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11 총선이 한 달을 채 남기지 않고 있다.  19대 국회 과반의석을 차지하려는 각 정당의 후보공천 결과 발표도 속속 이어져 서울 48개 선거구 대분의 경쟁구도가 그려졌다.

각 정당의 공천과정을 지켜보면 이른바 ‘전략공천’과 ‘후보자 경선’이 눈에 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일부 지역구를 전략공천지로 선정, 당 지도부와 공천심사위에서 후보를 결정한다.

후보 경선은 한 지역구에 복수의 출마 희망자가 나왔을 때 여론조사나 민주통합당의 국민경선 등을 통해 공천을 결정짓는다. 민주주의 이념을 따른다면 모든 지역구에서 유권자에게 어떤 후보를 내세우는 게 바람직한 지 묻는 경선제도가 바람직하다.

경선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국민경선에 동원할 선거인단 확보를 둘러싸고 예비후보 선거사무소 관계자가 자살까지 한 사례는 경선제도의 허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보 공천 단계에서 유권자들이 어떤 국회의원을 원하는지 알아보는 경선제도의 장점을 무시할 수는 없다.  각 정당의 전략공천은 지역 유권자의 바람에 앞서 선거 승리만을 위해 유력 인물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의 전략공천 결과를 보면 당의 의도에 따라 지역구와 전혀 관련 없는 인물을 낙하산식으로 투입하고 있다. 또 당 지도부의 판단만으로 특정인을 내세운 뒤 공천철회라는 웃지 못 할 해프닝을 벌이기도 한다.

새누리당이 현역 의원 배제를 전제로 한 전략공천지역으로 선정한 강남갑과 강남을 지역구를 놓고 벌인 공천철회 소동이 대표적인 사례다.

새누리당이 현역 유정현 의원을 밀어내고 김정 비례대표 의원을 전략공천한 중랑갑 지역구는 정치신인 민주통합당 서영교 후보에게 밀리면서 자충수를 둔 꼴이 되고 있다. 지역 유권자들의 의사를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천결정을 내린 후유증이다.

민주통합당의 전략공천 후보도 지역구와 동떨어진 인물 투입이란 지적을 면키 어렵다. 자신의 지역구를 버리고 서울 공천을 희망한 현역 의원 중 몇몇은 경선을 통해 공천권을 얻었으나 일부는 전략공천으로 낯선 지역구에 출마하게 됐다.

인물의 역량이나 인지도, 지명도 등에서 월등한 후보라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하지만 해당 지역구 유권자들은 실망할 수밖에 없다.

후보자 공천은 무엇보다 유권자와 지지자들이 원하는 후보를 선발하는 형식과 내용을 갖춰야 한다. 그래야 정당도 발전하고 우리나라 정치수준도 한 단계 올라설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