싫은 후보는 싫다고 말하는 유권자가 되자
싫은 후보는 싫다고 말하는 유권자가 되자
  • 서울타임스
  • 승인 2012.04.02 1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들에게 19대 총선 투표참여 의향 등을 조사한 결과 56.9%가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투표율도 투표율이지만 눈길을 끄는 대목은 어떤 기준으로 후보를 선택하느냐는 질문이다. 응답자의 34%가 정책·공약을 들었고 30.8%가 인물이나 능력을 꼽았다. 이어 소속정당은 13.8%로 후보자 개인 평가에 따른 선택보다 훨씬 낮았다. 

국회의원이 되는 순간 개인의 신념이나 의지보다 소속정당의 구속력이 더 강한 우리나라 정치현실에 비춰볼 때 이런 유권자의 후보 선택기준이 올바른 것인지 의문이다. 정치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시민들이 가장 많이 하는 얘기가 ‘바꾸면 뭐가 달라지느냐’는 자조 섞인 말이다.

그래도 자꾸 바꿔야 정치인들이 국민을 무서워 한다는 원론적인 얘기는 더 이상 통하지도 않는다. 너무 오랫동안 우리 사회는 ‘유권자 패배의식’과 ‘피해의식’에 물들어 왔다. 이런 패배의식 탓인지 총선 투표율은 차츰 떨어지다가 지난 18대 총선에서는 역대 최저인 46.1%를 기록했다.

70년대 유신독재 시절 90% 이상의 투표율이나 85년 군부독재 시절 치른 12대 총선 당시 84.6%의 투표율이 좋다는 것은 아니다. 그런 국가동원령과 같은 선거를 더 이상 되풀이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유권자의 10명 중 적어도 6명은 투표소에 나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해야만 정치에 국민의 뜻이 실릴 수 있다.

이를 외면하는 것은 곧 민주주의를 포기하는 일과 같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 유권자는 당연히 자신이 원하는 후보를 선택해야 하고 싫어하는 후보에게는 당당히 싫다고 말하는 권리도 가진 주권자라는 사실이다.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거리에는 4년에 한 번씩 얼굴을 보이는 후보자들이 가면과 같은 웃음을 띠고 나타나게 된다. 이들이 손을 내밀면 유권자들은 예의상 맞잡아주곤 한다.

이제 좋아하지 않는 후보의 악수는 거절하는 당당한 유권자들이 많아지길 바란다. 유권자의 권리, 즉 선택하는 권리와 함께 거절하는 권리도 더욱 당당하게 행사해야 한다.

정책이라는 허울을 쓰고 숱하게 뿌려지는 공약도 꼼꼼히 검증해야 한다. 또 선거 때마다 되풀이하는 색깔론도 엄중히 심판해주길 바란다. 요즘 정치판에서는 또다시 ‘종북’이니 ‘친북’이니 하는 색깔 공방이 고개를 들고 있다.

실체도 불분명한 붉은 색에 기대 꺼져가는 생명력을 이어가려는 세력의 정체가 무엇인지도 유권자들이 이번 총선에 가려내야 할 대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