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르네상스 2008~2011년, 시작과 끝
한강르네상스 2008~2011년, 시작과 끝
  • 이인우 기자
  • 승인 2012.06.15 13: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단위 개발계획’ 비판 지속, 박원순 취임 후 사실상 중단

서울시는 지난 2008년 ‘회복’(restoration)과 ‘창조’(creation)를 목표로 한강르네상스의 사업 마스터플랜을 제시했다.

‘한강르네상스를 통해 한강이 갖는 가능성, 숨겨진 가치를 찾는다’는 계획이었다. 또 이를 통해 ‘서울의 새로운 브랜드를 창조한다’는 목표를 전면에 내세웠다.

‘서울의 새로운 브랜드’는 오세훈 전 시장의  ‘미래의 먹을 거리 확보’로 이어졌다. 오 전 시장은 한강르네상스와 연계한 서해뱃길사업에 대해서도 “중국의 신흥부자를 관광객으로 유치, 서울의 미래 먹을거리를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강르네상스를 비판하는 시민단체와 이들과 뜻을 같이 하는 학계에서는 서울시의 주장에 결정적인 허점이 있다는 반론을 폈다. 한강르네상스의 목표로 제시한 ‘회복’과는 정반대의 개발프로젝트가 실체라는 것이다.

당시 서울시는 회복·창조의 8대 실현과제로 ▲한강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재편 ▲워터프론트 타운 조성 ▲한강변 경관 개선 ▲서해 연결 주운기반 구축 ▲한강 중심의 Eco-Network 구축 ▲한강으로의 접근성 개선 ▲한강변 역사유적 연계강화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 등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회복’의 의미가 담고 있는 생태환경 개선에 해당하는 부문은 Eco-Network 구축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 이러한 Eco-Network 구축 관련 예산보다 토목건축비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10년까지 서울시가 밝힌 총 6726억 원의 한강르네상스 예산집행 결과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문화기반 조성을 내세운 4대 한강공원 특화·하늘다리·자전거공원 조성 등에 2719억 원을 쏟아 부었다.

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각종 도로정비에 1683억 원, 경관조성에 421억 원, 수상·주운을 위한 선착시설에 218억 원을 썼다. 반면 자연형 호안조성이나 생태공원 등에는 약 1685억 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을 목표로 내세우면서 자연환경 복원 관련 예산은 전체의 25%만 배정한 셈이다.

더욱이 한강르네상스 관련 예산집행에 서울시가 민자유치 사업 등은 포함시키지 않아 이를 합산할 경우 이미 1조 원을 훌쩍 넘겼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러한 한강르네상스의 근본 목적은 한강과 잇닿은 지역의 대단위 개발계획이라는 비판도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서울시가 추진한 ▲전략정비구역 ▲유도정비구역 ▲일반관리구역별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이후 이같은 한강 르네상스는 사실상 중단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