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과 기쁨, 추억을 간직한 해당화
슬픔과 기쁨, 추억을 간직한 해당화
  •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장
  • 승인 2010.11.08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홍선의 ‘풀꽃나무 타령’ 47]

‘해당화 피고 지는 산마루에/ 철새따라 가버린 총각선생님……’

해당화는 유행가 가사에도 나와 있듯이 고향이나 추억을 상징하는 친근한 꽃나무이다. 정약용은 ‘아언각비’에서 해당화의 종류를 7가지로 나누고 있지만, 한반도에는 개해당화, 민해당화, 만첩해당화 등 3종류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해당화. ⓒ송홍선

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매우 많다. 그러나 꽃을 잘 아는 사람은 드물다. 특히 그것이 야생화일 때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해당화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꽃이다. 갯마을 사람들의 애환을 담고 있는 꽃으로 흔하게 알려져 있다. 한자로는 해당화(海棠花)라 쓰고 매괴화(梅槐花), 홍매괴(紅玫瑰) 등으로 쓴다.

해당화는 곧잘 야산에 흔하게 피는 찔레꽃에 비유된다. 해당화와 찔레꽃은 몇 가지 공통되는 점이 있다.

꽃의 빛깔은 해당화가 붉은빛이고 찔레꽃이 흰빛으로 다르지만, 꽃의 모양이나 줄기가 휘늘어지는 떨기나무(관목)의 특성은 비슷하다.

잎과 열매의 모양도 닮아 있고, 꽃의 향기도 비슷하다. 때문인지 해당화는 우리의 가요 중에서 찔레꽃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고향…’이라 부르는 ‘찔레꽃’ 노래의 꽃은 해당화이다.

꽃은 향기가 진하고 좋아 화장품의 향료로 이용한다. 열매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그대로 먹고 있으며, 잼으로 가공하여 식용하고 있다. 그리고 떡이나 전의 빛깔을 내는 데 사용했다는 구전도 있다.

▲ 해당화. ⓒ송홍선

한방에서는 수렴, 지사, 지혈, 진통 등에 효능을 나타내기에 각혈, 토혈, 풍과 습기로 인한 마비, 옆구리 결리는 증세, 월경불순 등에 쓰고 있다. 농촌에서는 그 약효나 처방이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성인병의 민간약재로 사용한다.

해당화는 우리의 문학과 노래에도 소재로 많이 다뤄지고 있는데, 조선시대 여류시인 금원은 ‘해당화’라는 시에서 ‘온갖 꽃 다 지고 봄은 가는데/ 다시 봄꽃을 어이 볼꺼나’라고 읊었다.

흔히 불리던 노래로는 ‘명사십리 해당화’가 있다. 노래가사 속의 해당화는 슬픔과 기쁨과 추억을 함께 간직한 우리의 대중적인 꽃으로 묘사한 내용이 많다.

명사십리 해당화냐/ 꽃 진다고 싫어 말며/ 잎 핀다고 싫어 말라/ 삼동 석달 꼭 죽었다/ 명년삼월 다시 오리. <명사십리 해당화>

▲ 해당화 열매. ⓒ송홍선
해당화는 많은 선비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중국의 시인 두보는 해당화를 소재로 시를 짓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해당 부인이라는 어머니의 별호를 부르기가 송구스러웠기 때문이란다.

한편 중국 당나라의 현종은 어느 날 심향정에서 쉬다가 평소에 지극히 사랑하는 양귀비를 불렀다. 이때 양귀비는 전날 밤에 마신 술이 깨지 않아 자리에 누워 있었다. 그래도 양귀비는 황제의 부름을 받고 거역할 수가 없어서 황급히 일어나기는 했으나 얼굴이 창백했고 도저히 걸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양귀비는 백옥 같이 흰 얼굴에 불그레한 홍조가 곱게 피어 있었으며, 눈은 가느다랗게 뜨고 몇 가닥 흩어진 머리카락이 이마에 나부끼는 모습은 말할 수 없이 예쁘기만 했다.

현종은 한동안 양귀비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너는 아직도 술에 취해 있느냐”라고 말을 건넸다. 그러자 양귀비는 “해당화의 잠이 아직 깨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했는데, 양귀비는 자신의 붉은 얼굴을 해당화에 비유했던 것이다.

이때부터 중국에서는 해당화를 수화(睡花)라고 불렀다고 한다.

꽃말은 미인의 잠결, 온화, 원망 등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