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서울 지역구 의원, 총선 앞두고 ‘초긴장’
한나라당 서울 지역구 의원, 총선 앞두고 ‘초긴장’
  • 이인우 기자
  • 승인 2011.12.02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협위원장 연석회의 “현역 의원 공천권 내려놓자”

▲ 29일 오후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한나라당 연석회의에서 국회의원, 당협위원장들이 홍준표 대표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뉴시스]
한나라당이 한·미 FTA 비준동의안 강행처리 후 불어닥친 역풍에 극도로 긴장하고 있다.
특히 서울 지역구 의원들은 50여 일 앞으로 다가온 19대 총선과 관련, 당협위원장 사퇴까지 거론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지난 29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를 갖고 이같은 사실을 재확인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김성식 의원(관악갑)은 “우리 모두가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자는 의견에 공감한다”며 “한나라당의 낡은 보수가 국민의 거부감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자증세·재분배 강화, 좌파 의제까지 추진
서민정책 행보 진정성 여부가 총선에 영향
20~40대 정치참여 검증된 서울 판도 주목

그는 한 걸음 나가 “이명박 정부의 경제정책은 그 프레임이 잘못된 것”이라고 규정한 뒤 “일부 국민은 성
공했으나 대부분의 국민은 성공하지 못했고, 그래서 분노가 표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한나라당이 나눔에도 관심을 가진다는 상징적 조치가 필요하다. 적어도 과표 2억 정도의 소득세 구간을 신설한다는 정도는 상징적으로 오늘이라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최근 한나라당이 내놓는 부자감세 등의 정책과 입장을 같이 했다.

신지호 의원(도봉갑)은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어려우면 예외 없이 정권교체가 되고 있다”고 전제한 뒤 “(한나라당의) 현 위기가 탄핵역풍 때보다 더한 위기라고 본다. 훨씬 더 복합적이고 근원적인 위기가 다가와 있다”며 극도의 위기감을 드러냈다.

이러한 신 의원의 위기감은 이날 연석회의에 참석한 국회의원 대부분이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전여옥 의원(영등포갑)은 “지금이라면 총선 100석도 확보하기 어렵고 대선은 확실히 진다”며 “원외 당협위원장은 공천에서 우선권을 준다고 하더라도, 현역의원은 모두 내려놓자”고 말하는 등 공천권 포기까지 시사했다.

전 의원은 특히 “SNS가 별것 아니라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라며 “김어준이 저술한 ‘닥치고 정치’를 읽어보았는데, 우리가 잘못한 것이 맞더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친이계의 핵심으로 알려진 진성호 의원(중랑 을)은 “정책과 관련해서는 버핏세 등의 문제가 당에서 논의되는 것 자체는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해 그동안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추진해온 부자감세 정책에서 한걸음 비켜섰다.

그는 그러나 지도부를 교체할 경우 비대위 구성과정에서 또 다시 내부 다툼이 일어난다며 “우리가 뽑은 지도부가 합의해서 공천문제를 처리하도록 해야 한다. 한나라당의 이름을 바꾸는 것은 비겁한 일이다”고 강조하는 등 당내 일각의 전면 쇄신론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서울에 지역구를 둔 한나라당 의원들의 이같은 발언은 전국 당협위원장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의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한·미 FTA 악재까지 겹쳐 더욱 큰 위기감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당협위원장 간담회에서 나온 발언들이 중앙당 정책기조를 얼마나 바꿀 수 있겠냐는 점이다.
한나라당은 한·미 FTA 비준동의안 강행처리 후 이미 서민정책을 들고 나섰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나라당이 논의하고 있는 서민정책은 크게 재분배 기능 강화, 부유층 증세, 정규직 일자리의 정규직 전환 추진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청와대의 정책기조를 전면 부정하는 것으로 현실화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한나라당이 그동안 좌파 정책이라고 끊임없이 공격해온 의제를 스스로 들고 나온데 대한 국민들의 반응도 탐탁치 않다.

한나라당의 전례에 비추어 볼 때 최근 들고 나온 ‘좌파 정책’의 진정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총선이 닥치자 일시적인 국면전환용으로 서민정책을 만지작거리는 것 아니냐는 따가운 시선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될 경우 다른 지방에 비해 높은 20~40대 정치참여율이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입증된 서울 지역의 총선 전망은 더욱 어두울 수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