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Map으로 본 전국 소득수준과 생활여건
GIS Map으로 본 전국 소득수준과 생활여건
  • 송규봉 객원논설위원
  • 승인 2012.03.04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네 살림살이 지난 10년, “ 나아졌나, 나빠졌나? ”

국민들은 전반적인 생활여건이 좋아짐 31.0%, 나빠짐 29.0%, 변화 없음 40.1%로 답변했다. 2002년과 비교하면 좋아짐은 8.9% 줄어들고, 나빠짐은 4.8% 늘어났다.

월평균 생활비 최고기록은 서울(254만 원)이 아닌 경기도(261만 원)로 드러났다. 울산(240), 대전(240), 인천(230), 부산(225), 대구(215), 광주(210) 등 수도권은 평균 249만 원으로 지방 206만 원에 비해 매월 43만 원 더 높고, 대도시(특별시 및 광역시)는 231만원, 지방도는 200만 원으로 매월 30만 원 가량 월 생활비가 더 많이 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은 「보건의료시설」이 23.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사회복지시설(20.8%)」, 「국·공립 어린이집(13.5%)」순이다.

향후 가장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복지서비스는「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서비스」가 39.2%로 가장 많았다.

살림살이는 좀 나아졌습니까?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국민들은 전반적인 생활여건이 좋아짐 31.0%, 나빠짐 29.0%, 변화 없음 40.1%로 답변했다. 2002년과 비교하면 좋아짐은 8.9% 줄어들고, 나빠짐은 4.8% 늘어났다. 통계청이 주관하는 사회조사는 사회지표체계 10개 부문 중 매년 5개 부문을 선정하여 부문별 2년 주기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조사는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부문에 대하여 전국 약 1만7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8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내용을 집계한 것이다.

전반적인 생활여건이 나아졌는지 묻자 계층별로 답변의 편차가 나타났다. 전국 평균 나빠졌다는 비율보다 좋아졌다는 비율이 2% 높게 나왔지만, 40~50대에서는 나빠졌다는 답변이 더 많았다.

대졸 이상은 좋아짐(34.5%)이 나빠짐(27.9%)보다 높게 나왔고 고졸은 나빠짐(29.4)이 좋아짐(28.7)보다 높다. 직업별로 농림어업, 광공업, 전문관리직, 사무직은 좋아졌다는 답변이 더 많았지만 서비스판매직과 기능노무직은 나빠졌다는 답변이 더 높게 나왔다.

생활여건에 대한 소득수준별 답변은 확연히 달라진다. 좋아짐으로 답변한 비율을 살펴보면 월수입 100만 원 미만에서는 27.1%, 100~200만 원대 25.7%로 나빠짐 비율보다 낮게 나오다가 200만 원대 30.0%, 300만 원대 33.6%, 400만 원대 36.0%, 500만 원대 37.1%로 상승하다가 600만 원 이상에서는 42.5%로 최고정점에 도달한다. 나빠졌다는 비율이 더 높은 지역은 서울, 부산, 인천, 대전, 충북, 전북 지역이며 대구, 광주, 울산, 경기, 강원,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제주에서는 좋아졌다는 답변이 더 높게 나왔다.

생활비는 넉넉하십니까?

2011년 한국의 가구별 평균 최소생활비는 월 229만원으로 조사되었다. 국민들은 전체적으로 여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19.7%)보다는 소득이 모자란다고 느끼는 비율(49.5%)이 두 배 이상 많았다.

60세가 넘어가면 소득의 부족함을 느끼는 비율이 56.4%로 올라갔다. 소득에 관하여 여유감 대 부족감을 대비하면 초졸 이하(9.0:63.7), 중졸(14.7: 54.8), 고졸(17.6:51.2), 대졸 이상(28.4: 39.4) 등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여유감은 상승하고 부족감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여유감 대 부족감을 대비하면 농림어업(14.8:53.7), 광공업(26.4:42.5), 사회기타서비스(23.1:45.1), 전문 관리직(33.5:34.8), 사무직(28.4:37.5), 서비스판매(19.4:48.3), 기능노무직(18.1:51.6)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문 관리직과 사무직에서 소득의 여유로움에 대한 비율이 높고, 농어업, 서비스판매직, 기능노무직에서 낮게 나타났다.

소득수준별 월생활비는 91만 원에서 450만 원까지 편차가 벌어졌다. 여유감 대 부족감의 편차도 극명하다. 100만 원 미만(2.9:77.9), 100만 원대(7.9:61.1), 200만 원대(16.8:49.6), 300만 원대(29.2:33.2), 400만 원대(39.9:21.5), 500만 원대(47.9:14.9), 600만 원 이상(64.9:5.7) 등 여유감은 최저 2.9%부터 최고 47.9%까지 부족감은 5.7%부터 77.9%까지 각각 22배와 14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짐작과 달리 월평균 생활비 최고기록은 서울(254만 원)이 아닌 경기도(261만 원)로 드러났다. 울산(240), 대전(240), 인천(230), 부산(225), 대구(215), 광주(210) 등 수도권은 평균 249만 원으로 지방 206만 원에 비해 매월 43만 원 더 높고, 대도시(특별시 및 광역시)는 231만원, 지방도는 200만 원으로 매월 30만 원 가량 월 생활비가 더 많이 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늘려야 할 것들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은 「보건의료시설」이 23.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사회복지시설(20.8%)」, 「국·공립 어린이집(13.5%)」순이다. 연령별로 보면, 10대는「공원, 유원지」, 20대와 30대는「국·공립 어린이집」, 40~50대는 「보건의료시설」, 60세 이상은 「사회복지시설」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향후 가장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복지서비스는「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서비스」가 39.2%로 가장 많고, 다음은「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서비스(17.7%)」,「노인 돌봄 종합서비스(16.6%)」등의 순으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서비스」 다음으로 남자는「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서비스」를, 여자는 「노인 돌봄 종합서비스」를 향후 우선적으로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로 생각하고 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는 「아동양육지원 및 돌봄 서비스」를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그 외 연령층은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서비스」를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노후에 겪는 어려움

2011년 「노후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가구주는 75.8%로, 주된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55.2%로 가장 많고, 다음은「예금·적금」15.2%,「사적연금」13.5% 순이며 성별로 보면 남자 가구주의 노후 준비율이 81.5%인 반면, 여자 가구주는 56.9%에 불과하고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의 노후 준비율이 각각 88.9%, 8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가구주(24.2%)의 경우 「준비할 능력 없음(52.2%)」, 「앞으로 준비할 계획임(22.7%)」,「자녀에게 의탁(14.9%)」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60세 이상 가구주(48.0%)는 「준비할 능력 없음」이 62.2%로 절반을 훨씬 넘었고, 「자녀에게 의탁」이 27.5%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노인들이 겪고 있는 어려운 점은 「경제적인 어려움(40.6%)」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건강문제」37.8%, 「소일거리가 없음」6.2% 등이며 도시지역의 노인들은 「경제적인 어려움」, 「직업이 없음」, 「소일거리가 없음」에 대해, 농어촌지역은 「건강문제」, 「외로움, 소외감」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노인의 생활비 마련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60.1%로 가장 많고, 「자녀 또는 친척지원」32.0%, 「정부 및 사회단체」7.7%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경우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74.1%를 차지한 반면, 여자는 49.4%로 남자가 24.7%p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녀 또는 친척 지원」이나 「정부 및 사회단체」에 의지하는 비중이 높아졌으며 생활비를 본인이나 배우자가 부담하는 경우, 그 방법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50.9%, 「연금, 퇴직금」27.6%, 「재산소득」12.4% 순으로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에 의한 생활비 마련은 연령이 낮을수록,「연금, 퇴직금」은 연령이 높을수록 그 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노인의 94.7%가 평소 정부 및 사회단체로부터 복지서비스를 「받고 싶다」고 응답했고 받고 싶은 복지서비스는 「건강검진」이 34.4%로 가장 많고, 다음은「간병서비스」26.1%,「가사서비스」14.5%, 「취업알선」10.6% 등의 순이며 「간병서비스」,「가사서비스」,「식사제공」,「이야기상대」,「목욕서비스」등은 연령이 높을수록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답변했다.

더 나아질 것이라 생각하십니까?

가구주의 52.8%가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간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011년 가구주의 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의식은 「상층」1.9%, 「중간층」52.8%, 「하층」45.3%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자 가구주는 자신이 「상층」2.2%, 「중간층」57.3%, 「하층」40.5%이라고 생각한 반면, 여자가구주의 10명중 6명은 본인이 「하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009년과 비교해 보면,「상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중간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각각 0.8%p, 2.1%p 감소한 반면,「하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2.9%p 증가하였다.

우리 사회에서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가구주의 비율은 28.8%인 반면, ‘낮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8.7%로 나타났다. 한편, 다음 세대인 자식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41.7%로 현재 본인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에 비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2009년과 비교하면,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 ‘높다’라고 생각하는 경우 「본인세대」와 「다음세대」각각 6.9%p, 6.7%p 감소했다. 주관적 계층의식이 상층일수록 본인과 자식세대의 계층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답변했다.

공정사회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문으로 「조세부문(27.8%)」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이어서「취업부문(25.2%)」과「경찰·사법부문(19.7%)」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동부)지역은 「조세부문(27.9%)」을, 농어촌(읍면부)지역은「취업부문 (29.0%)」을 최우선 개선 부문으로 응답하였다. 20대(19세 포함)와 50대는 「취업부문」, 30~40대와 60세 이상은 「조세 부문」으로 나타났다.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으로 생각하는 가구주는 25.1%, 「악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가구주는 24.0%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농어촌지역보다, 성별로는 남자 가구주가 여자 가구주보다 상대적으로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가 「악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취업자 중 평소 직장(직업)을 잃거나, 바꾸어야 한다는 불안함을 「느낀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59.9%로 나타났으며, 여자 취업자(56.1%)보다 남자 취업자(62.4%)가 더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가 64.6%로 고용주(51.2%), 자영자(51.4%)보다 높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