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풀뿌리 시민단체에 거는 기대
서울 풀뿌리 시민단체에 거는 기대
  • 전상봉 서울시민연대 대표
  • 승인 2013.01.11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는 풀뿌리단체들의 현황조사를 실시한바 있다. ‘과연 서울에는 몇 개의 단체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까’라는 궁금증에서 비롯된 서울지역 풀뿌리단체 현황조사였다.

한국의 수도 서울에는 전국 단위의 시민사회운동 단체들의 사무실이 있기 때문에 풀뿌리단체들의 활동이 미약할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기 쉽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도 새삼 확인했지만 서울 25개 자치구에는 대단히 많은 풀뿌리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멀리는 1980년대 중반부터 지역에 터를 잡고 활동을 시작한 단체도 있고 가까이는 최근 마을공동체 사업과 협동조합을 설립하면서 만들어진 모임과 단체들도 있다.

서울의 동네와 골목에서 주민들과 함께 활동하는 풀뿌리단체들은 여러 형태의 부설기관을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 공동육아, 공부방, 대안학교, 작은도서관, 자활센터, 생협 그리고 다양한 나눔 활동에 이르기까지 실로 그 활동의 폭넓고 사업의 갈래는 다채롭다.

그런데 서울 지역의 풀뿌리단체들이 안고 있는 문제 또한 만만치 않다. 풀뿌리단체들이 공히 안고 있는 문제의 첫 번째는 재정의 안정화다. 재정의 확충과 안정화는 풀뿌리단체 활발한 활동을 담보하는 물적 토대라는 점에서 새삼 설명이 필요 없는 문제이다.

두 번째는 2030세대의 활동가를 양성하고, 청년 세대들이 동네에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확보하는 문제이다. 앞서 열거했듯이 풀뿌리단체들이 진행하는 사업들의 주된 대상이 4050 장년 세대와 어르신들이거나 보육과 교육에 관계된 아동과 청소년들이다 보니 2030세대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세 번째는 풀뿌리단체들의 활동이 구 단위의 지역에서는 활발하지만 서울시 차원에서는 소통하고 교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다 보니 서울시 차원의 문제들에 대한 풀뿌리단체들의 문제제기와 대안제시가 미약한 현실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풀뿌리단체들이 자치단체들과의 거버넌스를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서울에서 풀뿌리민주주의의 발전은 시민들이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가능하다.

풀뿌리민주주의가 발전하려면 풀뿌리단체들이 시민과 자치구와 서울시를 매개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풀뿌리단체들은 이 같은 촉매제의 역할을 어떻게 잘 수행할 것인지 답하고 풀어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 이후 서울시정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의지는 전에 비해 높아졌다. 2012년에는 주민참여예산제가 시행되는 등 서울시민들의 시정 참여를 제도적으로 확대하는 장치들이 하나 둘 마련됐다.

뿐만 아니라 지난 12월에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면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변화된 현실에 맞게 서울지역 풀뿌리단체들은 어떻게 능동적으로 활동해 나갈 것인지 가일층 분발이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